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프리랜서 단순경비율 vs 기준경비율, 그리고 업종코드별 경비율 정
    법인운영 2025. 4. 6. 17:09
    728x90
    반응형

    ===== STEP 1 시작 ===== ```html

    프리랜서라면 꼭 알아야 할 단순경비율 vs 기준경비율, 업종코드별 경비율 총정리

    종합소득세 신고 앞두고 어떤 경비율을 적용해야 할지 헷갈리시나요? 업종코드에 따라 경비율이 다르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안녕하세요! 저는 매년 5월마다 세금신고로 정신없는 프리랜서 ‘은하’입니다. 경비율 때문에 고민 많으셨던 분들, 저도 그랬어요. 처음엔 단순경비율이 뭐고 기준경비율은 또 뭔지 도무지 감이 안 오더라고요. 게다가 업종코드까지 알아야 한다니요! 하지만 이걸 잘 이해하면 세금 부담을 크게 줄일 수도 있고, 환급까지 받을 수 있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의 차이, 적용 기준, 그리고 가장 중요한 업종코드별 경비율까지 총정리해드릴게요.

    프리랜서 단순경비율, 기준경비율
    프리랜스 단순경비율, 기준경비율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의 차이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때, 사업소득이나 프리랜서 수입을 신고하는 방식에는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이라는 두 가지 방식이 있어요. 단순경비율은 장부 없이도 쉽게 신고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국세청이 고시한 경비율을 수입금액에 곱해 자동으로 경비를 인정받는 방식이에요. 반면 기준경비율은 실제 사용한 경비를 증빙으로 기록하고, 일정 금액 이상을 초과한 부분만 인정받는 복잡한 방식이죠.

    대상자 판단 기준

    단순경비율 대상자인지, 기준경비율 대상자인지는 수입금액과 사업 유형에 따라 달라져요. 아래 표로 간단히 정리해볼게요.

    구분 조건 적용 경비율
    신규 사업자 2023년 수입금액이 7,500만 원 미만 단순경비율
    계속 사업자 2022년 수입 3,600만 원 미만 &
    2023년 수입 7,500만 원 미만
    단순경비율
    그 외 위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기준경비율

    경비율 적용 방식과 계산 예시

    단순경비율은 수입금액 4,000만 원 이하에는 기본율이, 4,000만 원 초과분에는 초과율이 적용돼요. 예를 들어 단순경비율 60%인 업종에서 6,000만 원을 벌었다면,

    • 4,000만 원 × 기본율 60% = 2,400만 원
    • 2,000만 원 × 초과율 45% = 900만 원
    • 총 경비: 3,300만 원 → 소득금액: 6,000만 원 - 3,300만 원 = 2,700만 원

    이렇게 계산한 소득금액에 공제와 세율을 적용해 세금을 계산하게 됩니다. 실제로 사용한 경비보다 단순경비율로 계산한 경비가 많다면 단순경비율이 훨씬 유리하겠죠?

    업종코드에 따른 경비율 차이

    프리랜서라고 해도 누구나 같은 경비율이 적용되지는 않아요. 왜냐면 업종코드에 따라 경비율이 다 다르거든요. 예를 들어 작가는 58.7%, IT프리랜서는 64.1%처럼요. 그런데 문제는 소득지급자가 업종코드를 잘못 신고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 이럴 땐 본인이 직접 맞는 업종코드로 수정해서 신고할 수 있어요.

    프리랜서 주요 업종별 경비율표

    2023년 귀속 기준으로 종합소득세 신고 시 적용할 대표 업종의 경비율을 정리해봤어요. 본인의 업종코드를 확인하고 해당 경비율을 참고하세요!

    업종코드 세세분류 단순경비율 기준경비율 기본/초과
    940100 작가 (번역 포함) 58.7% 42.2% / 11.2%
    940301 작곡가 49.7% 29.6% / 11.6%
    940306 1인 미디어 창작자 64.1% 49.7% / 15.1%
    940926 소프트웨어 프리랜서 64.1% 49.7% / 17.0%
    940600 감수, 교정, 자문 58.4% 41.8% / 8.4%

    자주 묻는 질문 (FAQ)

    Q 단순경비율이랑 기준경비율 중 어떤 게 더 유리한가요?

    실제 지출 경비가 국세청 고시 단순경비율보다 적다면 단순경비율이 유리해요. 반대로 지출이 많고 증빙도 잘 되어 있다면 기준경비율이 더 유리할 수 있어요.

    Q 업종코드를 잘못 적용해도 신고 가능한가요?

    네, 원천징수자가 잘못 신고했더라도 본인이 신고 시 직접 정정해서 올바른 업종코드로 신고하시면 됩니다.

    Q 경비율은 매년 바뀌나요?

    맞아요. 경비율은 매년 국세청에서 고시되기 때문에, 매년 확인하고 적용해야 해요. 2023년 귀속 기준과 2024년은 다를 수 있어요.

    Q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도 프리랜서인가요?

    네, 유튜버, 크리에이터, BJ 등도 프리랜서로 분류돼요. 940306(인적/물적 시설 없는 경우) 또는 921505(시설 있는 경우) 업종코드 사용합니다.

    Q 단순경비율로 신고하면 환급 받을 수도 있나요?

    네! 원천징수 3.3%가 과하게 납부된 경우, 경비율로 계산된 실제 세액이 적으면 그 차액만큼 돌려받을 수 있어요.

    Q 기준경비율 신고하려면 무조건 장부작성해야 하나요?

    맞습니다. 기준경비율은 주요경비(매입비, 임차료, 인건비 등) 증빙이 필수예요. 그래서 장부작성과 증빙서류 준비가 필요하죠.

    종합소득세 신고, 매년 겪어도 참 복잡하게 느껴지는 거 공감하시죠? 저도 처음에는 단순경비율이 뭔지, 업종코드가 왜 중요한지조차 몰랐어요. 하지만 한 번 제대로 이해하고 나니 신고할 때 훨씬 수월하더라고요. 여러분도 올해는 업종코드 꼭 확인하시고,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 중 본인에게 유리한 방법을 선택해 똑똑하게 신고하시길 바랍니다. 혹시 헷갈리거나 놓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함께 얘기해요!

     

     

    프리랜서 사업자등록 시 꼭 알아야 할 업종코드

    프리랜서 사업자등록 시 꼭 알아야 할 업종코드프리랜서도 사업자등록이 필수? 업종코드 하나로 세금과 신고가 달라집니다!안녕하세요! 요즘은 프리랜서로 일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아졌죠. 그

    kos966.tistory.com

     

    댓글

Designed by Tistory.